0000088132_001_20251116181110824.jpg?type=w800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에서 깃발이 바람에 날리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삼성그룹이 향후 5년간 국내 연구개발(R&D)을 포함해 총 45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16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최근 임시 경영위원회를 열고 반도체 생산 핵심 거점인 평택캠퍼스의 2단지 5라인(5공장)의 골조 공사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평택사업장 2단지에 새롭게 조성되는 5라인은 2028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예상되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비수도권 지역 투자도 전방위적으로 확대한다.

삼성SDS는 전남에 대규모 AI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 삼성SDS는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건립할 SPC(특수목적회사) 컨소시엄의 주사업자다.

AI 데이터센터는 2028년까지 1만5000장 규모의 GPU를 확보하고 학계,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에 이를 공급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11월 초 인수 완료한 플랙트그룹(이하 플랙트)의 한국 생산라인 건립을 통해 AI데이터센터 시장을 집중 공략한다.

이밖에 삼성SDI는 이른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의 국내 생산 거점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으로, 유력한 후보지로 울산 사업장을 검토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에 구축중인 8.6세대 IT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생산 시설에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양산 예정이다.

삼성전기는 2022년부터 고부가 반도체 패키지기판 거점 생산 기지인 부산에 생산 능력 강화를 위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은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향후 5년간 6만명을 직접 채용할 계획이며 SSAFY, 희망디딤돌, C랩 아웃사이드, 청년희망터 등을 통해 추가적인 고용 파급효과를 만들고 있다. 삼성은 또한 신입사원 공채 외에도 다양한 사회공헌사업(CSR)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협력회사 상생 지원도 확대한다. 삼성은 1~3차 협력회사의 설비투자·기술개발·운영자금 등 필요 자금을 저리로 대출 지원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기준 1051개사에 2조321억 원을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