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 ‘UAE 국빈 방문’ 계기 협력 확대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각)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영접나온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과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미국의 초대형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계획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가운데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우리나라가 동참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에너지환경부, 해양수산부, 산업통상부와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는 18일 이재명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계기로 아랍에미리트와 대규모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건설과 함께 인공지능·에너지·항만 물류 분야에서 전방위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랍에미리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아부다비에 최대 5기가와트(GW) 규모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구축을 뼈대로 한다. 내년에 200메가와트(MW)급 인공지능 클러스터를 첫 가동할 예정이며, 초기 투자만 30조원 규모 이상이다.
정부는 ‘아시아 인공지능 수도’를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가 치열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주요국들과 전략적 협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그 첫 단추로 아랍에미리트와 인공지능·에너지 분야 협력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그간 국내에서 축적한 인공지능 분야 역량을 국외 시장에 확대하는 첫 사례로, 본격적인 글로벌 인공지능 경쟁에 뛰어들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나라는 인공지능 최고 의사 결정기구인 한국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인공지능·첨단기술위원회(AIATC) 간 ‘전략적 인공지능 협력 프레임워크’를 체결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두 나라는 첫 프로젝트로 원전·가스·재생에너지 등을 결합한 에너지믹스 기반 전력망을 구축해 하이퍼스케일 인공지능 데이터센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모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반도체 공급망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한다. 정부는 “국내 에너지·배터리·기후테크 분야뿐 아니라 인공지능 스타트업 등이 글로벌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큰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인공지능 기반 항만·물류 협력도 추진된다. 두 나라는 부산항과 아부다비 칼리파항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피지컬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항만 전환 프로젝트’를 구현하기로 했다. 한국이 축적해온 완전 자동화 터미널 운영 경험과 데이터 기반 지능형 물류 기술을 접목해 효율성을 높인 항만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과기정통부와 아랍에미리트 인공지능특임장관은 두 나라의 인공지능 협력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연구기관·기업·전문가 교류를 지원하고, 민간 교류 및 인공지능 투자를 촉진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구체적 협력과제를 지속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두 나라 간 국장급 인공지능 정책협의체를 꾸려 운영하는 데에도 합의했다.
정부는 연내 관계 부처·기관과 민간 기업 등이 참여하는 분야별 워킹그룹을 가동해 ‘전략적 인공지능 협력 프레임워크’의 실행 계획을 마련하고 실질적 성과를 도출한다는 방침이다.
미국의 초대형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계획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가운데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우리나라가 동참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후에너지환경부, 해양수산부, 산업통상부와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는 18일 이재명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계기로 아랍에미리트와 대규모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건설과 함께 인공지능·에너지·항만 물류 분야에서 전방위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랍에미리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아부다비에 최대 5기가와트(GW) 규모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구축을 뼈대로 한다. 내년에 200메가와트(MW)급 인공지능 클러스터를 첫 가동할 예정이며, 초기 투자만 30조원 규모 이상이다.
정부는 ‘아시아 인공지능 수도’를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가 치열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주요국들과 전략적 협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그 첫 단추로 아랍에미리트와 인공지능·에너지 분야 협력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그간 국내에서 축적한 인공지능 분야 역량을 국외 시장에 확대하는 첫 사례로, 본격적인 글로벌 인공지능 경쟁에 뛰어들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나라는 인공지능 최고 의사 결정기구인 한국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인공지능·첨단기술위원회(AIATC) 간 ‘전략적 인공지능 협력 프레임워크’를 체결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두 나라는 첫 프로젝트로 원전·가스·재생에너지 등을 결합한 에너지믹스 기반 전력망을 구축해 하이퍼스케일 인공지능 데이터센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모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반도체 공급망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한다. 정부는 “국내 에너지·배터리·기후테크 분야뿐 아니라 인공지능 스타트업 등이 글로벌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큰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인공지능 기반 항만·물류 협력도 추진된다. 두 나라는 부산항과 아부다비 칼리파항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피지컬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항만 전환 프로젝트’를 구현하기로 했다. 한국이 축적해온 완전 자동화 터미널 운영 경험과 데이터 기반 지능형 물류 기술을 접목해 효율성을 높인 항만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과기정통부와 아랍에미리트 인공지능특임장관은 두 나라의 인공지능 협력 확대를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연구기관·기업·전문가 교류를 지원하고, 민간 교류 및 인공지능 투자를 촉진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구체적 협력과제를 지속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두 나라 간 국장급 인공지능 정책협의체를 꾸려 운영하는 데에도 합의했다.
정부는 연내 관계 부처·기관과 민간 기업 등이 참여하는 분야별 워킹그룹을 가동해 ‘전략적 인공지능 협력 프레임워크’의 실행 계획을 마련하고 실질적 성과를 도출한다는 방침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